최애의 아이
동화공방의 마스터피스.

정신적인 어두움 혹은 그와 관련됨에 내성이 없으시면 절대 권해드리지 않는다.
1화 편성에 80분을 들이고, 한국에서는 특별상영회를 가질정도로 잔뜩 기대감을 받았고, 그 기대감은 그대로 흥행에 적중하여 이번분기 한일 통틀어 이번 분기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낸 작품이다.
이러한 컬쳐적 히트와는 달리 빛나는 포스터의 캐릭터와 그 외의 연예계의 어둠을 그려내는 어두운 작품이다. 스토커 문제, 스태프 문제, 악플 문제, 연애를 비즈니스로 이용하는 업계 문제와 같은 형태의 연예계의 ‘빛’보단 ‘어둠’을 표현하는것이 이 애니메이션의 주 목적이다.
이러한 키워드를 놓고보면 호불호 요소가 상당하게 존재한다. 키워드 외의 호불호적 주제라 함은 1화에서 다뤄지는 “최애 아이돌의 아이가 되어서 태어나면 어떨것같냐” 라는 주제와 그것을 풀어내는 형태가 대표적이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애의 아이는 만화 원작을 뛰어넘은 ‘애니메이션’이기에 보여줄 수 있는 연출요소를 상당히 과감하게 끌어내어 표현하기에, 부정적인 형태의 표현인 ‘원작홍보’ 애니메이션이라고 할만한 애니메이션중에 단연 독보적인 애니메이션이 탄생한게 아닐까 싶을정도로 연출에 있어서 진심인 애니메이션이다. 작화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되는것도 포인트중 하나.
스토리 작가가 히트작인 ‘카구야님은 고백받고 싶어’를 만든 작가인 ‘아카사카 아카’였기에, 주저않고 볼 수 있다는점도 상당한 셀링포인트중 하나 아니였을까.
그리고 최애의 아이가 단순히 일본 내의 파급력이라면 모르겠지만, 한국에까지 ‘챌린지’의 형태로 퍼지며 그리고 일종의 마이너 컬쳐로 불리었던 ‘지하돌’ 그리고 ‘오타게’까지 유행화 시킨것은.. 정말 잘만든 컨텐츠의 파급력이란것이 과연 이런것일까를 실감하게 만드는 가산요소였음에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추가적으로 흥행에 완벽하게 성공한 오프닝인 요아소비의 아이돌과, 엔딩인 여왕벌의 메피스토도 상당히 완성도가 높기에 높은 점수를 줄수밖에 없는 요소가 아닐까.
이 모든걸 총합한다면 이번분기, 아니 이번년도의 트렌드가 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걸 만들기위해 RPG 부동산같은 저예산을 만들었나..? 2기를 기대하지만, 이러한 퀄리티라면 무조건 나오려면 최소 1년은 걸릴거라고 생각한다.